5~6월 청년 대상 주거 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서울시 월세지원부터 국토부 전세임대까지
2025년 5월과 6월,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줄여주는 다양한 정부 및 지자체 지원정책이 시행됩니다. 특히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을 비롯해 국토부 청년 특별지원, 청년 주거급여, LH 전세임대 등은 현재 청년 1인 가구나 자립 준비 중인 사회초년생들에게 꼭 필요한 정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5~6월에 신청 가능한 청년 주거지원 정책들을 정리하고, 각 제도의 신청 조건, 혜택, 신청 방법까지 안내드리겠습니다.
1.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2025년 5월 신청 예정)
서울시는 매년 청년들의 주거 안정성을 위해 청년 월세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는 5월 중 신청 공고가 예정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조건이 적용됩니다.
📌 신청 대상
- 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 청년
-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둔 무주택 1인 가구
- 임차보증금 8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주택 거주자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지원 내용
- 월 최대 20만 원씩, 최대 12개월 지원 (총 240만 원)
- 생애 1회만 지원 가능
📅 신청 일정
- 5월 중 서울주거포털에 신청 공고 예정
- 6월 소득 및 재산 조사
- 7월 최종 선정자 발표
🔗 신청 방법
- 서울주거포털(https://housing.seoul.go.kr)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은 경쟁률이 높은 편이며, 신청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빠르게 확인 후 준비해야 합니다.
2. 국토교통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국토부(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한시적 청년월세지원 제도는 기존보다 더 폭넓은 계층의 청년들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25일까지가 1차 마감이었지만, 추후 추가 모집이 있을 수 있어 주목해야 합니다.
📌 신청 대상
- 만 19세 ~ 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
- 부모와 거주지를 분리한 청년 1인 가구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7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
💰 지원 내용
- 월 최대 20만 원
- 최대 24개월 지원 (총 480만 원)
🔗 신청 방법
- 복지로 사이트 또는 관할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해당 지원제도는 소득 요건이 낮은 청년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제도이며, 추가 공고 일정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3.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제도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은 부모와 떨어져 사는 저소득 청년층에게 별도로 주거급여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부모가 주거급여 수급자여야 하며, 청년 본인은 분리 거주 중이어야 합니다.
📌 신청 대상
- 만 19세 ~ 30세 미혼 청년
- 부모와 거주지를 분리하여 따로 거주
- 기준 중위소득 46% 이하의 가구
💰 지원 내용
- 지역별 기준 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 월세를 지원
🔗 신청 방법
-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를 통해 신청 가능
이 제도는 주거급여 수급 가구에 해당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전 조건 확인이 중요합니다.
4. 청년 전세임대 (LH)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는 청년 무주택자를 위한 전세임대 지원을 꾸준히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립을 준비하는 사회초년생,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이 주요 대상이며, 공고마다 지원 범위나 금액이 달라지므로 모집 시기를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신청 대상
- 만 19세 ~ 39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
-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자
- 자립 준비 청년, 보호종료아동 포함
💰 지원 내용
- 수도권 최대 1억 2천만 원, 지방 최대 9천만 원까지 전세보증금 지원
- 본인 부담은 일부 보증금 또는 임대료(월 1~2만 원 수준)
🔗 신청 방법
- LH 청약센터 또는 시·군·구청을 통해 접수 가능
전세임대 제도는 계약 조건이나 금액에 따라 실제 주거지 선택에 제약이 있으나, 금전적 부담은 매우 적은 편입니다.
📍 종합 비교 요약
서울시 청년월세 | 19~39세 | 최대 20만 원 / 12개월 | 없음 | 5월 예정 |
국토부 월세지원 | 19~34세 | 최대 20만 원 / 24개월 | 없음 | (1차 마감, 추가 공고 확인) |
주거급여 분리지급 | 19~30세 | 지역별 상한선 월세 | 없음 | 상시 |
LH 전세임대 | 19~39세 | 없음 | 최대 1억 2천만 원 | 상시 (공고별) |

✍️ 마무리
2025년 5~6월은 청년 주거지원 정책이 풍성한 시기입니다. 각 제도의 조건을 잘 비교해서 본인의 소득, 주거 형태, 나이에 맞는 제도를 빠짐없이 신청하세요. 대부분 선착순이나 서류심사로 경쟁이 있는 만큼, 일정 확인과 서류 준비를 서두르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지원 정책 쉽게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근로장려금 신청 시작!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 자격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2) | 2025.05.01 |
---|---|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기금 - 보증서 발급 어렵지 않아요 (2) | 2025.04.30 |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기금 - 어디서 신청하나? 신청 방법과 절차까지 완벽 정리 (2) | 2025.04.29 |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기금 보증신청 시 필요한 서류 총정리 – 개인·법인별 완벽 가이드 (6) | 2025.04.26 |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기금 보증료는 얼마나 들까? 보증금액별 상세 요율 정리 (4) | 2025.04.25 |